검색버튼
닫기버튼
WE ARE INNOVATION
우리는 항상 고객님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현재 위치
  1. 게시판
  2. Story

Story

Story 게시판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오디너리펫이 사용하는 목재 :2편 (제재목)
작성자 오디너리펫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24-03-12 18:17:23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2


안녕하세요. 오디너리펫 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사용하는 제재목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나무는 크게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되어지며 수종 및 환경에 따라 성장속도의 차이를 보입니다.

이때 우리는 나이테로 목재의 생장속도와 나무의 시간을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무는 제재 방식에 따라 크게, Plain sawn (평면절단) / Quater sawn(1/4절단) / Rift sawn (균열절단)

이렇게 3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판목 제재 (무늬결/이다매) 



Plain sawn라고 알려진 가장 일반적인 목재 절단 유형이에요.

나이테의 방향을 무시하고 자르기 때문에 수율이 높아 변형률도 높습니다.

나무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는 있겠으나, 나이테 구간에 따라 성장률과 강도가 다르기에 변형에 취약한 편입니다.

다만 우드슬랩과 같이 크고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 있기도 하지요.


정목 제재 (곧은결/마사메)

 



Quater sawn 이라는 이름을 따라 통나무를 1/4로 자른다음 톱과 나이테가 직각방향에서 자른 목재입니다.

가공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정목" 즉 같은부위의 강도로 구성되었기에 

변형이 가장적고 수율이 낮은 제재목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에요.



단층 제재





Rift sawn은 quarter sawn과 굉장히 유사하지만, 복잡한 절단방식입니다.

평평한 목재보다 왜곡에 덜 취약한 목재를 생산하는 공정일 뿐아니라 

4면이 모두 비슷하게 보이는 제재방식으로 수량이 적어 가장 비싼 유형의 제재법입니다.

목재를 제재를 이야기하면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결"




은 과연 무엇일까요? 

보통 우리가 말하는 "결"은 제재 방식에 따라 보이는 나무의 패턴을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결은 나무의 생장륜의 모양이며, 곧은결과 무늬결로 나뉘어 집니다.





하지만 작업자 입장에서의 "결"은 나무 섬유질(세포)의 방향인 순결과 엇결을 의미해요.

작업자는 이 결의 방향에 따라 작업의 방식과 방향을 고민하고 판단합니다 

 



이렇게 결을 살펴 보다 보면, 천연재료 이기 때문에 생기는 다양한 현상들을 관찰 할 수 있지요.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을 정상적이지 않은것으로 치부해야 하는걸까요?

이런 것들은 왜 생기는 걸까요?


옹이

옹이는 누구가에게는 아름다운 무늬이기도 하며 결점으로 구별되기도 합니다.

옹이는 직경생장을 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목재에게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기도 하지요.

줄기의 나무가 자라는 가지의 교차부에 생기는 흠으로, 줄기의 세포와 가지의 세포가 교차하는 곳에서 생기게되요.

옹이는 다른 섬유질보다 훨씬 단단하기에 가공이 아주 까다롭지만, 예쁜 옹이는  그 자체로 멋이 되기도 한답니다.


갈라짐

 




목질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생육을 위한 수액을 운반하기 위한 목재의 구조는 마치 빨대와 같습니다.

목재를 반으로 갈라보면 잘린 단면은 빨대들을 약한 접착제로 붙여놓은 다발과 같이 생겼죠.

 




 이때 심재와 변재의 모양,방향이 다르고 이들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그 다른 수율로 인한 변형에 의한 갈라짐이 생기는 거랍니다.

제재목 끝단의 마구리면에 페인트칠이 되어 있는 경우가 바로 이러한 수관들의 급격한 건조를 막아 

갈라짐을 예방하기 위한 코팅입니다.

 



그럼 다시,

저희 오디너리 펫은 하드우드 제재목 등급의 최상급인 FAS등급의 제재목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럼 FAS등급이란 무엇

일까요?

 

국제하드우드 목재협회 NHLA에서 제공하는 하드우드 제재목의 표준등급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FAS (Firsts and Seconds) 

판재의 폭이 6인치(150mm) 이상 이어야 하고, 길이는 8피트(약 2.44미터) 보다 길어야 하는 판재.

판재는 더 나쁜 면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기는데 결점 없는 깨끗한 면의 비율이 전체 83.3% 이상으로서

깨끗한 면만 잘라냈을때 4인치(100mm) x 5피트(약1.5미터) 또는 3인치(75mm) x 7피트(2.1미터)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규정된 판재입니다.

정교한 가구, 캐비넷등 깨끗하고 결점없는 넓은 면이 요구되는 곳에 적합한 판재로 이야기 되지요.

다른 등급과 다르게 FAS 등급의 제재목들은 다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요.

하지만 우리의 소중한 동반자들을 위한 가구를 만드는 저희 오디너리펫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상급의 좋은 목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고집을 지켜가려 합니다.

이렇게 골라 가져온 제재목은 


1. 스케치 및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가 생각한 디자인을 실제와 가깝게 구현하는 구상, 모델 설계

2. 용도와 작업순서를 고려하여 목재를 자르는 기초재단

3.  수압 및 자동대패를 이용한 면정리 과정을 거치고 판재형태로 사용하기위해 여러장의 제재목을 붙이는 집성

4. 수공구나 기계를 사용하여 형태를 만드는 부재가공

5. 잘 정돈된 부재들과 각종 하드웨어를 적재적소에 위치시켜 최종 형태로 조립하는 조립

6. 사포 및 손대패를 사용하여 면을 고르게 정리하고 천연 오일을 올려 나무 본연의 빛깔을 아름답게 빛내는 도색 및 마감


대략적으로 6가지의 과정을 거쳐 가구로서 만들어 지게 됩니다.

 

다음에는 집성이나 조립단계에서 가구를 제작 하기위해 필연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본드'에 대해 이야기 해볼게요. 



For your companion, 


OrdinaryPET.

첨부파일 캡처 (2).PNG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 이름 :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영문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 10자~16자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